원효와 의상의 불교사상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9:00본문
Download : 원효와의상의불교사상.hwp
원효 의상 불교사상 화엄 화엄학 / 『다시 찾는 우리역싸』한영우, 경세원
원효 의상 불교사상 화엄 화엄학 / 『다시 찾는 우리역사』한영우, 경세원 『한국사 시민강좌』제4집 『한국불교 인물 사상사』불교신문사 편, 민족사 『화엄의 사상』카마타 시케오/ 한영조 옮김, 고려원 (한국문화)
순서
1. 머리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의상의 화엄종
다.
원효와 의상의 불교사상에 대하여
『화엄의 사상』카마타 시케오/ 한영조 옮김, 고려원
원효 의상 불교사상 화엄 화엄학
Download : 원효와의상의불교사상.hwp( 97 )
4. 맺음말
『한국불교 인물 사상사』불교신문사 편, 민족사
설명
대체적으로 한국불교는 중국불교가 커지는 단계를 함께 거치고 있었지만, 때로는 중국불교보다 한발 앞서 당대의 불교가 사상적인 기본 과제(problem)를 해결하기도 했다.
신라시대 법흥왕(法興王 515-540)때 불교를 공인하면서 엄청난 승려를 배출하였다.
또한 의상은 지엄 슬하에 법장과 같이 수업하면서 훗날 법장이 理論적 화엄사상이라면, 의상은 실천적인 새로운 화엄학을 신라에 퍼트려 중국의 화엄학과 벗어나면서 역시 한국만의 불교를 퍼뜨리는 데 큰 공헌을 한 사람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중에 여러 업적을 쌓은 승려가 많았지만 그 중 대중에서 인지도가 많고 인기가 많은 승려 2명을 뽑으라면 아마 원효와 의상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2. 원효의 화쟁론
(한국文化)
『한국사 시민(Citizen)강좌』제4집
과연 우리들은 원효와 의상에 대해 무엇을 얼마만큼 알고 있는가? 대략적인 원효와 의상에 대해 살펴보면 원효는 ‘화쟁사상’, 의상의 ‘일즉다, 다즉일’정도 밖에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신라는 원효(617-686)는 신라 불교계뿐만 아니라 당시 동아시아 불교권 전체의 기본적 과제(problem)였던 대승 불교의 2개의 학파인 중관학파, 유식학파 사이의 교리적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종합불교로서의 독창적인 교확을 성립시켰다. 또한 원효의 불교는 중국에 전해져서 당의 화엄학 성립에 커다란 effect을 주었으며, 나아가 중국ㆍ인도 불교에서 벗어난 차원의 단계로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제일 잘 알 것 같으면서도 제일 많이 모르는 것 또한 원효와 의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리하여 인도ㆍ중국 불교계까지 커다란 effect을 주는 등 한국 불교의 독창적인 사상이 대륙에 역수출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