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分析을 통해 본 한국인 심리표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3 07:59
본문
Download : 속담분석을 통해 본 한국인 심리표상.hwp
6. 남의 밥에 든 콩이 굵어 보인다. 피해의식에 관계된 속담은 다음과 같다. 피해의식...
피해의식과 관계된 속담들은 피해의식 자체를 내용으로 한 것이 아니라 피해의식이 작용할 때 나타나는 지각현상이나 행동특성들이다.
1. 아는 놈이 도둑놈.
2. 가까운 무당보다 먼 데 무당이 용하다.
4. 사돈집과 뒷간은 멀어야 한다.
속담分析을 통해 본 한국인 심리표상
피해의식과 관계된 속담들은 피해의식 자체를 내용으로 한 것이 아니라 피해의식이 작용할 때 나타나는 지각현상이나 행동特性들이다.
10. 미운놈 떡하나 더 준다.
3. 믿는 나무에 곰팽이 핀다.
9. 나간 머슴이 일은 잘했다.
11. 구관이 명관.
이들 피해의식에 관계된 속담들은 남의 것, 자기주변에 없는 것, 옛날 것이 더 좋게 보이고, 아는 사람도 믿을 수 없으며, 미운 사람도 더 내 놓으면 해가 되니 잘 해주라는 내용의 속담들이다.
7. 도둑질도 혼자 해 먹어라.
8.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5. 굿하고 싶어도 맏며느리 춤추는 꼴 보기싫어 안한다. 피해의식... , 속담분석을 통해 본 한국인 심리표상인문사회레포트 ,






다. 이러한 한국인의 피해의식은 다시 한국인에게 있어 남의 탓을 잘하며, 핑계를 많이 대고, 결과적으로 책임회피를 많이 하게 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따 최상진, 임영식, 유승엽(1991)의 “핑계…(skip)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속담분석을 통해 본 한국인 심리표상.hwp( 94 )
설명
피해의식과 관계된 속담들은 피해의식 자체를 내용으로 한 것이 아니라 피해의식이 작용할 때 나타나는 지각현상이나 행동특성(特性)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