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적 캠퍼스 개발 방안-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내 그린빌딩 도입을 중심으로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12:29
본문
Download : 친환경적 캠퍼스 개발 방안-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내 그린빌딩 도입을 중심으로 -.hwp
그러나 제한된 캠퍼스에서의 생활인구의 증가와 그에 따른 시설부족은 이번 경우와 같이 지속적으로 캠퍼스 내의 건물을 고층화하게 되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이러한 기숙사 고층화 계획은 5월 16일 서울시 건축위원회에서 12층 이하로 기준을 상향조정하면서 서울대학교 측이 이를 받아들여 재설계하기로 함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18층 규모의 대학원 기숙사와 15층 규모의 외국인 기숙사 등의 `기숙사 고층화`계획에 대해 서울시는 신축 건물의 높이를 5층 이하로 제한할 것을 권고했다.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친환경적 캠퍼스 개발 방안-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내 그린빌딩 도입을 중심으로 -
순서
Ⅰ. 서울대는 공사중
Ⅱ. 문제제기
1. 서울대학교 캠퍼스 개발의 문제가되는점
2. 현실적인 문제와의 딜레마
3. 에코캠퍼스운동이란?
Ⅲ. 그린빌딩이란?
1. 그린빌딩의 정의(定義)
2. 그린빌딩의 事例(사례)
3. 국내 그린빌딩의 동향과 문제가되는점
Ⅳ.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내의 그린빌딩의 present condition
Ⅴ. 문제가되는점
Ⅵ. 대안 및 結論
- 별첨 -
1. 질문 및 답변
2. 조모임 일지
1. 서울대 캠퍼스 개발의 문제가되는점
서론에서 살펴보았듯이 서울대 캠퍼스 내에는 현재 많은 공사가 진행 중인데 대다수의 사람들이 서울대 캠퍼스 개발의 문제가되는점 을 제기한다. 따라서 현재 303동의 정지작업이 이미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반대여론 때문에 현재 공사가 중단된 상태이다. 관악산의 연주봉 8부 능선을 통째로 끊어버리면서 엄청난 녹지훼손과 경관침해를 일으킨 301동은 이후 302동과 303동이 건설되면서 관악산 파괴의 `주범`으로까지 인식되었다.
(2)녹지공간에 지어지는 건물들에 의한 環境
서울대 캠퍼스 난개발에 의한 관악산파괴를 이야기할 때, 대표적인 事例(사례)로 이야기되는 것이 바로 301동 건물이다.친환경캠퍼스21 , 친환경적 캠퍼스 개발 방안-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내 그린빌딩 도입을 중심으로 -공학기술레포트 ,
친환경캠퍼스21






다.
서울대학교 캠퍼스 개발의 문제점과 에코캠퍼스 운동 및 그린빌딩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그것들을 대략 요점해 보면 다음 네 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1)고층건물로 인한 자연경관의 훼손
외국인 연구원 숙소와 대학원기숙사 등 신축 기숙사들은 최근 서울시가 경관훼손에 대한 우려로 제동을 건 대표적인 건축사업이다. 예정대로 기숙사의 고층화가 이루어질 경우, 나타나게 되는 경관훼손은 그림에서 나타나는 대로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단지 경관을 훼손하는 문제만이 아니라 실제로 건물을 짓기에 부적합한 산의 급경사 부분에 건설되어 토양유실과 주변식생 파괴의 현실적인 effect에 대한 우려가 있기 때문일것이다 『관악캠퍼스 발전관리 기본계획』에 실린 ‘관악캠퍼스 부지analysis(분석) `에 따르면 301동 등이 건설된 지역은 `가파른 경사`와 `수목이 밀집된 곳`, `야생동물 서식처` 등에…(생략(省略))
Download : 친환경적 캠퍼스 개발 방안-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내 그린빌딩 도입을 중심으로 -.hwp( 13 )
서울대학교 캠퍼스 개발의 결점과 에코캠퍼스 운동 및 그린빌딩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