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도덕적 행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8 11:32
본문
Download : 도덕적 행위.hwp
레포트/인문사회
도덕적 행위
도덕적행위―도덕성과
‘도덕성’과 ‘인륜성’간의 갈등과 화해에 대한 글입니다. 왜냐하면 규범은 나의 개별 목적과 내가 나 자신에게 부과하는 특수한 의무를 측정(測定) 할 수 있는 척도로서만 이해될 뿐이기 때문일것이다 이를테면 우리는 보편적인 규범을 구체적인 나의 행위상황에 적용시켜 나의 개별적 의무를 도출하는 것이 아니다.
Download : 도덕적 행위.hwp( 65 )
이러한 도덕적 심정의(定義) 존재를 칸트가 보편적 법칙을 표상하는 형식에서 파악한 것은 정당한 것이다. 칸트의 정언명법이 단지 행위의 형식적인 기준만을 제시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는데, 우리는 정언명법을 구체적인 경우에 적용시켜 개별적 의무를 도출할 수 없기 때문일것이다 그래서 칸트는 자신의 행위를 감정과 욕정으로부터 이끌어내면서 다만 행위자로 하여금 원칙 일반에 충실할 것을 촉구하고 있을 따름이다. 그리고 행위세계를 지배하는 규범의 보편적 기준은 행위자가 개별적인 목적을 선택하고 행위가능성을 서로 비교할 때 행위자에 의해 명석·판명하게 파악된다 이와 같이 심정은 행위자의 개별적인 의도를 보편에 포섭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우리는 심정에 근거함으로써 욕구의 불만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보편적인 도덕법칙에 따르고, 이를 행동함의 동기로 삼아 어떤 상황 속에서도 나의 행위를 실행시킨다. 즉 보편은 도덕적 결단이 일어나는 행위세계의 규범 속에서만 유의미한 것이다. 그렇지 않고 심정을 부정한다면, 우리는 보편적인 법칙 일반을 등한시하거나 아니면 우리의 소망을 충족시키는데 단순히 방해만 되는 것으로 간주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실제로 도덕적 결단에 직면하여 외부에 있는 보편적인 규범을 즉각적으로 이에 적용할 수 없다.
그러나 원칙이 도덕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먼저 행위자가 자신의 의중(意中)에 따라 원칙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여기서 행위자의 자율성이 요구된다 이것은 곧 행위자 자신이 행위의 주체자가 되는 것을 …(省略)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다. 오히려 우리는 나의 구체적 행동을 보편적인 원칙 아래로 가져가 나의 행위를 평가한다. 왜냐하면 심정은 모든 사람에게 타당한 것이어야만 하기 때문일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보편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해 보아야 한다.도덕적행위―도덕성과 , 도덕적 행위인문사회레포트 ,
‘도덕성’과 ‘인륜성’간의 갈등과 화해에 대한 글입니다.